바이든의 보복 대응 딜레마...'강경 응징하되 중동 확전은 피해야'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미국 정부가 친이란 민병대의 드론 공격으로 요르단 북부의 미군 주둔지 '타워 22'에서 미군 3병이 숨진 것과 관련해 보복 의지를 거듭 천명했다. 다만 조 바이든 정부는 이란과의 전면전 등 중동 전체로 전쟁의 불길이 확산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수위 조절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29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분명히 이번 사건과 관련해 응징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면서 보복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이미 언급했듯이 이번 대응은 우리의 시간에 맞게 적절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오전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도 "우리는 (이번 피습에 대한) 상당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
커비 조정관은 다만 미국 정부는 요르단 미군 기지 피습에 대한 보복이 이란과의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바라지는 않는다는 입장도 견지했다.
그는 언론 브리핑 모두 발언에서도 "오늘 내가 이번 사안과 관련해 위기를 고조시키는 발언을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우리는 (중동 지역에서) 긴장 고조를 원하지 않으며, 이란과의 전쟁을 추구하지는 않고 있다"고 수위 조절에 신경을 썼다.
사르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드론 피습으로 미군 3명이 숨지고, 부상자가 40명이 넘는다고 공식 확인하면서도 이번 보복 대응의 시기와 범위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그는 '이번 피습 공격에 이란에도 책임이 있다고 보고 있느냐"는 기자들의 거듭된 질문에는 "우리는 이란이 미군 기지를 공격한 민병대 조직들의 자금을 지원해온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답변을 되풀이했다. 이란이 중동 지역의 반미 무장조직을 지원해온 것은 분명하지만, 이번 미군 기지 공격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고 지목하지는 않은 셈이다.
싱 부 대변인은 대신 이번 미군 기지 드론 공격에는 카타이브 헤즈볼라의 '족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카타이브 헤즈볼라는 이라크내 시아파가 설립한 무장조직으로 이란의 지원을 받아왔다.
이란 정부 역시 이번 미군 기지 드론 공격에 자신들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나세르 카니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역내 저항세력들은 자신들의 결정과 행동에 있어서 이란의 명령을 받지 않는다"며 "이란은 이 지역에서 분쟁이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로선 최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관련해 중동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기지에 대한 공격이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드론 공격은 간과할 수 없는 사안이다.
더구나 야당인 공화당이나 보수층은 바이든 정부의 잘못된 중동 정책 때문에 미국에 대한 공격이 강화되고 있다면서 이란 등에 대한 더 강경하게 대응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무시하기 힘든 압박이다. 자칫하다간 '유약한 바이든 외교의 실패'라는 여론의 비판에 직면하게 될 여지도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대규모 보복으로 이란을 비롯한 중동 전체로 전쟁이 확산될 경우 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 상황에서 전면전에 가까운 확전은 중동 전체의 미국의 통제권을 상실하게 만들 수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전폭 지원해온 바이든 정부로선 감당하기 힘든 시나리오다.
바이든 정부는 오히려 최근 이스라엘을 압박해 하마스와의 60일간의 휴전 협상을 유도하며 중동 정세를 관리하려는 모습을 보여왔다.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이번 피격에 대응해 국내외에 확고한 '미국의 힘'을 보여주면서도 중동 전체로 전쟁의 불길이 번지는 것은 막아야하는 딜레마에 빠지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