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2030 부산엑스포' 유치활동 2년…성과와 과제는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 선정을 위한 결전의 날이 밝았다.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이탈리아(로마) 등 경쟁국의 선전이 거세지만,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의지는 어느 때보다 결연하다.
정성훈 경제부 차장 |
세계박람회는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메가이벤트'로 불린다. 그만큼 경제적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번 부산엑스포 유치시 61조원의 경제효과와 50만명 이상의 고용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만약 부산엑스포 유치에 성공할 경우 한국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3대 국제행사를 모두 개최하는 국가로 남게 된다.
정부는 지난해 7월 8일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에 본격 뛰어들었다. 경쟁국보다 조금 늦게 출사표를 던진 만큼 500여일간 민관이 한 팀이 돼 말 그대로 '총력전'을 펼쳤다. 1985만1579km, 무려 지구 495바퀴에 달하는 이동거리가 이를 증명해 준다.
그동안 민관 부산엑스포 유치단이 만난 각국 인사들은 정상 포함 3472명에 달한다. 대통령이 96개국 462명, 국무총리가 112개국 203명, 삼성전자·LG그룹·현대자동차그룹·SK그룹·롯데그룹 등 13개 기업이 174개국 2807명을 만나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고군분투했다.
특히 정부의 행정수반인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가 열리는 프랑스 파리만 다섯 번 방문했다. 역대 총리 중 임기 동안 한 국가를 다섯 번이나 방문한 총리는 한 총리가 유일하다. 그만큼 부산엑스포 유치가 절실했다는 방증이다.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 여부는 아직까지 낙담할 수 없다.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에 가장 먼저 뛰어든 사우디가 세계박람회 회원국을 대상으로 막대한 차관과 개발원조기금을 약속하는 등 '오일머니'를 무기로 많은 공을 들여왔기 때문이다.
특히 사우디 인접 지역인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한국의 '열세'가 예상된다. 이 두 지역은 한국의 '외교 볼모지'로 분류된다. 그동안 한국은 우호국인 북미, 유럽, 아시아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통상·외교활동을 벌여온 터라 이 두 지역에 소홀했던 게 사실이다. 향후 남은 국제 행사 유치를 위해서도 중장기적으로 이 두 지역에 대한 외교·통상 기반을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정부 관계자는 "유치전 초반에는 사우디가 막대한 오일머니로 우호국들을 포섭해 한국이 상대적 열세로 분류됐지만, 이제는 어깨를 나란히 견줄 수 있을 만큼 따라잡았다"면서도 "이번에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하더라도 앞으로 남은 월드컵, 올림픽 등 국제 행사 유치를 위해 이들 지역을 전략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한국 정부가 이번 부산엑스포 유치활동을 계기로 전 세계에 한국을 알리고, 소중한 외교적 자산도 쌓았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한덕수 총리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세계박람회 회원국) 182개국 중 정부가 특사를 파견하지 않은 국가가 거의 없다"면서 "우리가 쌓은 외교적 자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이렇게 쌓은 외교적 자산은 절대 그냥 흩트리지 말고 지속적인 노력을 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2030 세계박람회 선정을 위한 투표에는 국제박람회기구 182개 회원국이 1표식 행사하게 된다. 1차 투표에서 회원국 3분의 2인 122표 이상을 얻는 도시가 나오면 자동으로 유치가 확대된다. 만약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도시가 나오지 않을 경우, 1위와 2위가 2차 결선투표를 벌여 다(多)득표 도시가 최종 주인공이 된다. 한국은 2차 투표에서 유럽 등의 지지를 등에 업은 '대역전극'을 기대하고 있다.
이제 마지막 '주사위'는 던져졌다. 그동안의 노력과 기다림이 결실을 맺을 시간이다. 결과가 중요하긴 하지만, 과정없는 결과는 있을 수 없다. 과정에 최선을 다했으면 그에 합당한 결과를 기대하면 된다. 부산엑스포가 유치될 수 있도록 국민의 일원으로써 마지막까지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