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식품 가격 바가지" 제동 공약에 업계 반발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식품 업계가 소비자들에게 바가지를 씌우고 있어 이를 통제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자 업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식품 업계는 업계가 폭리를 취하고 있으며 이를 정부가 통제하겠다는 해리스 부통령의 주장에 반대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의 주범으로 기업들의 탐욕을 지목하고 이를 통제하겠다고 공언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재임 기간 중 급등한 물가는 민주당 대선 후보인 해리스 부통령에게는 커다란 약점이 될 수 있다.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해리스 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인플레이션 급등의 책임이 있다고 비난해 왔다. 지난 7월 식품 물가는 2019년 말에 비해 26%나 급등했다. 이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의 같은 기간 14% 상승률에 비해 가파른 오름세다.
적잖은 식품 회사들은 최근 몇 년간 최대 규모의 이익을 기록하면서 소비자 권리 보호 단체로부터 강력한 비난을 받아왔다. 일부 소매업체들은 소비자들의 반반을 우려해 추가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8.21 [email protected] |
예일대 예산연구소 경제 학장을 맡고 있는 어니 테데시는 의류와 일반 상품 소매업의 마진은 그렇지 않지만, 식음료 소매업의 마진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에 비해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테데시는 소비자들의 선호 변화가 반영된 것일 수 있다면서도 "경제학자들은 이것에 의문을 품을 필요가 있고 무슨 일이 있는지를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는 노동과 코코아 가격을 비롯한 생산요소 가격이 최근 몇 년간 급등했으며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의 이익 마진이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식품 소매업 및 공급업체를 대표하는 FMI의 앤디 하리그 부대표는 "우리는 왜 이처럼 예상보다 비싼 가격에 대한 충격(sticker shock)이 있는지와 왜 그것이 사람들을 화나게 하는지 잘 알고 있다"며 "그러나 자동적으로 여기에 분명히 무언가 부정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과도하게 단순화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립식료업연합은 "식료품 가격 바가지를 금지하자는 제안은 문제를 찾기 위한 해결책에 불과하다"며 식료품 기업들도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와 같은 피해를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해리스 부통령의 바가지 금지 공약이 어떤 형태로 시행될지에 관심을 두면서도 이 같은 가격 통제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노스웨스턴대의 마이클 싱킨슨 켈로그 경영대 교수는 "도박하지 않는 가격 통제를 만들어 내는 것이 매우 힘들 수 있다"며 "어떻게 가격 통제를 설정할 수 있는가? 올바른 기준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