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美 금리 논쟁 다시 원점 ③ 금리 피크? 2024년 시나리오

haesun 0 437

이 기사는 11월 10일 오후 3시1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기준금리 인상이 종료되지 않았다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발언으로 이른바 '금리 피크(peak)' 기대감에 흠집이 발생한 가운데 월가의 향후 시나리오가 복잡하게 꼬이는 양상이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 수석 경제 자문관을 포함한 월가의 구루들은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5.25~5.50%에서 멈춘다 하더라도 장단기 국채 수익률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특히 억만장자 투자가 스탠리 드러켄밀러 듀케인 패밀리오피스 설립자는 장단기 국채 수익률의 엇박자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단기물 국채 수익률이 '금리 피크' 혹은 '피벗(pivot, 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으로 하락할 수 있지만 장기물 수익률은 이른바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 상승으로 인해 레벨을 높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엘-에리언은 블룸버그의 칼럼을 통해 "2024년 시장 금리의 등락에 대한 연준의 영향력이 2022년이나 2023년에 비해 크게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17001105461905.jpg
고민스러운 표정의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

장기물을 중심으로 국채 수익률을 움직임이는 결정적인 변수가 통화정책에서 경제 펀더멘털과 미 재무부의 국채 발행 물량으로 옮겨갈 것이라는 얘기다.

월가의 큰손들이 특히 주시하는 대목은 미국의 재정적자와 국채 발행 추이다. 드러켄밀러는 지난 11월1일 한 컨퍼런스에서 장기물 국채 발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재정 적자와 정부 예산을 채우려면 세금을 더 걷어들이거나 연금 및 복지 혜택을 줄여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 때문에 국채 발행에 의존할 여지가 높다는 얘기다.

17001105466028.jpg
미 정부의 이자 부담 [자료=블룸버그]

최근 미 국채에 대한 숏 포지션을 모두 청산했다고 밝힌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탈 매니지먼트 대표가 30년물을 포함한 장기물 국채에 대해서도 하락 베팅을 청산한 것과는 상반되는 입장이다.

투자가들은 소위 끈적끈적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한편 국채 수익률 상승이 맞물리면 미국의 부채 부담이 크게 뛸 것이라고 경고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0월 말 미 정부의 부채 이자 부담이 연율 기준 1조달러를 돌파했다. 이자 부담은 불과 19개월 사이 두 배로 늘어났다.

물론 이는 미 재무부가 실제 부담한 이자액과 다르다. 재무부는 9월 말로 종료된 2023 회계연도의 이자 부담이 총 8793억달러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7178억달러에서 14% 가량 뛴 수치다.

하지만 블룸버그는 최근 수 개월 사이 장기물을 필두로 한 국채 수익률 및 발행 금리 상승은 이자 부담이 급증할 가능성을 예고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상황은 미 국채시장의 투자 심리를 더욱 냉각시키는 한편 기간 프리미엄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어 월가가 긴장하는 표정이다.

켄 그리핀 시타델 대표는 블룸버그 주최 컨퍼런스에서 "고물가가 앞으로 수 십년간 지속되면서 눈덩이 재정 적자와 부채에 따른 부담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9월 기준 미국 국가 부채는 33조달러를 넘어섰고, 2023 회계연도 재정 적자는 1조7000억달러에 달했다.

여기에 미국 경제의 향방까지 접목시키면 금리 시나리오는 더욱 복잡해진다. 투자은행(IB)과 정책자들이 제시하는 경기 전망은 소프트 랜딩(soft landing)과 하드 랜딩(hard landing)부터 노 랜딩(no landing)과 크래시 랜딩(crash landing)까지 제각각이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연은 총재는 11월7일 CNBC와 인터뷰를 갖고 "미국 경제가 침체를 피하는 동시에 인플레이션을 2.0%까지 떨어뜨리는 데 성공하는 시나리오가 아직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와 모간 스탠리 등 일부 투자은행(IB)도 이 같은 소프트 랜딩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반면 도이체방크는 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시차를 두고 실물경기를 강타, 미국 경제가 침체를 겪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부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상에도 실물경기가 꺾이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0%를 웃도는 상황이 지속, 이른바 노 랜딩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한다. FHN 파이낸셜의 크리스 로우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이 중 한 명이다.

이와 달리 긴축 후폭풍이 완만한 침체가 아닌 극심한 위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도 번지고 있다. 실물경기가 꺾일 뿐 아니라 이자 비용 상승에 미국이 부채 위기를 맞을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것.

드러켄밀러를 포함해 '뭔가가 부러질 것'이라고 경고하는 이들이 이른바 크래시 랜딩을 점치는 상황이다.

30년물 국채 수익률의 추가 상승을 예고한 드러켄밀러가 최근 2년물 국채를 대량 매입한 것은 최악의 경기 전망과 무관하지 않다.

엘-에리언은 '연준 쇼크'가 가시화되면서 실물경기가 꺾이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국채 수익률이 아래로 기울 수 있지만 미 재무부의 국채 발행 물량이 늘어나면서 발행 금리와 기간 프리미엄이 계속 상승하면 경기 하강의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고 말한다.

정리하면, 2024년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서도록 할 만한 이유가 등장할 수도 있지만 높은 금리가 유지될 수밖에 없는(higher for longer) 이유 또한 자리잡고 있다는 얘기다.

그만큼 통화정책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고, 투자자들은 극심한 변동성과 맞서야 할 것이라고 월가는 입을 모은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0 Comments
포토 제목

먹튀당하시면

대한민국1%가

책임집니다!

  • 이름
  • 연락처
  • 문의내용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