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3연속 동결 '무게'…연내 인하는 '글쎄'
한국은행 본부 안에 걸린 '물가안정' 현판. ⓒ공동사진취재단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세 차례 연속으로 현재 수준인 3.50% 동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조금씩 진전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물가상승률과 불안한 금융상황 등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기준금리에 손을 대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아울러 이창용 한은 총재가 통화정책 전환에 선을 긋고 있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근원물가를 고려하면, 연내 금리 인하도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오는 2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한은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사상 처음 일곱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해, 올해 2월과 4월 통화정책 결정회의에서 현재 수준인 3.50%에서 동결했다.
시장참가자들은 지난달에 이어 이번에도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실상 한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끝났다는 분석이다.
우선 한은의 제1 목표인 물가 상황이 최근 안정되고 있다.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에 접어든 것은 지난해 2월(3.7%)이후 1년 2개월 만이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5.2% ▲2월 4.8% ▲3월 4.2% ▲4월 3.7% 순으로 둔화되고 있다.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에너지 가격과 가공식품 가격 상승률이 상당폭 낮아진 덕이다. 아직 목표치(2%)를 웃도는 상승률이지만, 한은이 제시한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3.5%에 가까워지고 있다.
경기 하강 조짐과 금융 불안 우려도 기준금리 동결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최근 국내외 금융기관들은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을 1%대 초반까지 낮춰잡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의 버팀목이 수출 성적이 여전히 부진한데다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도 크지 않아서다.
국제통화기금과 아시아개발은행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5%로 내려잡았다. 우리나라 한국금융연구원은 1.7%에서 1.3%로, 한국개발연구원은 1.8%에서 1.5%로 낮췄다. 한은도 다가오는 금통위에서 지난 전망치인 1.6%보다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역대 최대로 벌어진 한·미 금리차(1.75%p)에 대한 부담도 덜었다. 외인들의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하지 않은데다, 미국도 금리 인상 종료를 시사했기 때문이다. 한은이 지난 11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 국내 주식투자자금은 지난해 10월 이후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순유입을 나타내다가 3월 순유출을 기록했으나 4월 순유입으로 돌아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공개한 정책결전문에서는 '추가적인 정책 긴축이 적절할 것'이라는 문구가 삭제됐다. 미 금융권에서는 연준이 사실상 긴축을 중단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위축된 상황이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가 여전히 4%대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공공요금이 물가를 끌어올릴 가능성도 있어서다. 이 총재 역시 “아직 금리 인하는 시기 상조”라는 방침을 고수해왔다.
전기·가스요금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 추가 인상됐고 하반기에는 서울의 지하철 요금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될 가능성도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에 따른 수요 증가와 산유국의 감산에 따라 국제유가가 반등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기사 원문(출처): https://www.dailian.co.kr/news/view/1236164/?sc=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