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월가 인플레 축포와 '끈적한' 금리 ② 산타랠리 펼쳐질까
이 기사는 11월 16일 오후 2시2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미국 10월 인플레이션 지표에 월가가 축포를 터뜨렸지만 이를 근거로 2023년 말 산타랠리를 장담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여전히 시장 금리가 주식시장의 쥐락펴락하는 상황인데 장기물을 중심으로 '끈적끈적한' 고금리 여건이 지속될 여지가 높다는 의견이다.
경기 침체 없이 인플레이션 진화와 국채 수익률 하락을 생각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10월 지표 둔화로 인해 연착륙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 오히려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 수준인 2.0%에 이르는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경고도 꼬리를 물고 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최고경영자(CEO)는 11월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TV와 인터뷰를 갖고 고물가가 쉽게 그리고 빠르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CPI 헤드라인, 코어, 슈퍼코어 지표 추이 [자료=ING] |
그는 "구조적인 요인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이 적절한 결정이지만 추후에 추가 인상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고객들에게 기준금리 7%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해 월가의 조명을 받은 바 있다.
11월14일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주가 급등과 국채 수익률 하락에 대해 그는 단 한 차례 지표에 시장이 과민 반응했다고 지적했다.
억만장자 투자자 켄 그리핀 시타델 창업자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마이애미에서 시타델이 주최한 글로벌 매크로 컨퍼런스에서 그는 연준의 목표치인 연율 기준 2.0%를 웃도는 물가 상승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고물가가 10년 이상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해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었던 그는 10월 지표 개선에도 기존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모습이다.
그리핀은 또 연준이 성급하게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지난 11월9일 인플레이션의 '헤드 페이크(head fake)'를 언급하며 신중한 목소리를 낸 파월 의장의 입장과 맥을 같이 한다.
헤드 페이크는 본래 농구 경기에서 상대방 선수가 앞에 있을 때 머리를 흔들어 교란을 일으키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를 혼란스럽게 하거나 착각하게 하는 지표를 뜻한다.
그리핀은 아울러 "연준이 서둘러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신뢰에 흠집이 생길 것"이라며 "물가를 연율 기준 2.0% 이내로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대규모 재정적자에 대해 쓴 소리를 쏟아낸 억만장자 투자자 스탠리 드러켄밀러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2024년 11월5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부가 지출을 축소할 여지가 낮고, 때문에 국채 발행 물량이 늘어나면서 국채 수익률 상승을 자극할 뿐 아니라 인플레이션 하락을 더디게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PNC 파이낸셜 서비스의 커트 랜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와 인터뷰에서 "10월 물가 지표가 고무적이지만 근원 물가가 지속 가능한 안정을 이뤘다고 판단하려면 앞으로 3~6개월 가량 수치가 둔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뱅크레이트의 그렉 맥브라이드 금융 애널리스트는 "근원 물가를 연준의 목표 수준에서 통제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주장했다.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공개한 점도표에서는 연준 정책자들이 2026년까지 인플레이션 2.0%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도 연준 정책자들은 경계감을 드러냈다. 인플레이션 완화가 반길 일이지만 앞으로 목표 달성까지 험로가 기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 침체 없이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연율 기준 2.0%로 떨어뜨릴 수 있다고 자신하는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서 "물가 개선이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할 일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품 인플레이션은 안정적인 추세를 이루고 있지만 앞으로 몇 분기에 걸쳐 주택시장의 가격 및 월세 상승 압박이 진화돼야 한다"며 "일반적으로 고물가가 완전히 꺾이는 과정은 매끄럽지 않다"고 주장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몬트 연은 총재 역시 "인플레이션이 연율 기준 2.0%까지 순탄하게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연방준비제도(Fed) [사진=블룸버그] |
지난 수 개월 사이 물가 상승이 둔화됐지만 상당 부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가격 상승이 부분적으로 꺾인 데 따른 것"이라며 "주거 비용 인플레이션이 역사적 평균치를 여전히 웃돌고, 서비스 비용 상승도 가파르다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연말 산타랠리는 기대해도 될까. 시장 전문가들은 연말 시장 금리 추이와 주가 상승 여부가 불투명할 뿐 아니라 산타랠리가 나타난다 하더라도 마지막 상승 불꽃이 될 수 있다며 낙관론을 경계한다.
9월 FOMC에서 제시된 점도표 [자료=연준] |
월가의 비관론자로 통하는 마이크 윌슨 모간 스탠리 전략가는 11월 초 보고서를 내고 2023년 12월 S&P500 지수의 하락을 예고하며 산타랠리는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11월15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모간 스탠리 아시아 태평양 컨퍼런스에서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리기만 하면 주식시장이 상승 날개를 달 것이라는 기대가 높지만 실제로 피벗(pivot)이 전개된다 하더라도 시중 자금은 주식이 이나라 채권으로 몰려갈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JP모간의 마코 콜라노빅 전략가도 투자 보고서를 내고 주가 상승에 추격 매수하는 전략에 반기를 들었다.
11월 이후 S&P500 지수가 7% 이상 상승한 데 따라 주식시장이 과매수 영역에 진입했고, 고평가된 상태라는 판단이다.
최근 주가 상승은 경제 펀더멘털보다 기술적인 측면의 모멘텀과 이른바 숏 커버링에서 비롯된 만큼 영속성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리스크/보상 측면에서 S&P500 지수가 매력적이지 않은 수준이고, 긴축적인 통화 정책이 지속되고 있어 공격적인 상승 베팅보다 방어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콜라노빅 전략가는 강조했다.
강세론자도 없지 않다.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 대표는 보고서를 내고 "에너지 가격을 중심으로 물가가 안정을 찾으면서 채권 자경단이 물러났다"며 연말 산타랠리는 물론이고 2024년까지 강세 흐름이 지속되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그는 S&P500 지수가 2023년 말 4600까지 오른 뒤 2024년 5400까지 뛸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초 이후 15% 가량 오른 지수가 연말까지 4% 추가 상승한 뒤 2024년 17.4%의 랠리를 연출할 가능성을 예고한 셈이다.
그는 2024년 말까지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35%라고 판단, 거시경제 리스크가 제한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